찌 움직임, 밑채비 저항감으로 파악… 뒷줄 견제로 채비 정렬 필수 전유동낚시라고 하면 많은 꾼들이 벵에돔, 참돔, 부시리 등 여름어종을 노릴 때 주로 사용하는 저부력 채비를 먼저 떠올린다. 하지만 실제로는 대상어종이나 찌부력에 상관 없이 찌매듭을 사용하지 않고 다양한 수심층을 공략하는 낚시 방법은 모두 전유동낚시라고 할 수 있다. 쉽게 말해 조류가 매우 빠른 곳에서 감성돔을 공략할 때, 1호 이상 고부력찌를 사용하더라도 찌매듭이 없으면 그것 역시 전유동낚시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
![]() |
다양한 어종을 대상으로 넓은 범위를 공략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전유동낚시에 대한 꾼들의 관심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최근에는 낚시에 입문한지 얼마 되지 않은 초보꾼들 사이에서도 일찌감치 전유동을 배우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전유동낚시를 처음 시작하는 꾼들이 가장 어렵다고 생각하는 점이 밑걸림이다. 찌매듭을 하지 않아 밑채비가 계속 가라앉기 때문에 결국은 밑걸림이 생길 거라 미리 겁부터 집어먹는 꾼들도 의외로 많다. 하지만 실제로는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전유동낚시의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채비 운용에 익숙해지면 밑걸림 문제는 얼마든지 극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실 따지고 보면 전유동낚시는 반유동낚시에 비해 밑걸림으로 고생할 가능성이 오히려 낮다고 할 수 있다. 반유동낚시에 비해 채비를 가볍게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밑걸림이 생기는 일이 적고, 설사 바닥에 걸린다고 해도 반유동채비를 사용했을 때처럼 강제로 밑걸림에서 벗어나야 할 정도로 심각한 지경에 빠지는 일이 그리 많지 않다. 더 큰 문제는 밑걸림 자체보다는 채비가 바닥에 걸린 줄도 모르고 뒷줄을 계속 풀어주는 일이다. 멀리까지 한참을 흘린 뒤 막상 채비를 거둬보면 발밑에 바늘이 걸려 있는 어이 없는 일도 자주 벌어진다. 전유동낚시에 익숙하지 않은 꾼들이 이런 실수를 자주 범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찌매듭이 없는 채비를 사용할 경우 밑걸림이 생겨도 찌에 표시가 잘 나지 않기 때문이다. 반유동채비를 사용할 경우 밑걸림이 생기면 찌가 잠기므로 쉽게 파악할 수 있지만, 전유동채비를 쓰면 바늘이 바닥에 걸려도 찌는 물 속에 잠기지 않고 계속 흘러가는 것처럼 보일 확률이 높다. 그렇다면 전유동낚시에 경험이 풍부한 꾼들이 밑걸림을 줄이면서, 또는 밑걸림이 생긴 걸 파악하면서 채비를 흘릴 수 있는 비결은 무얼까? 해답은 밑채비 정렬이다. 밑채비가 ‘미끼-찌-원줄’ 순으로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흘러갈 때와, 그렇지 않고 찌가 미끼보다 앞서갈 때는 밑걸림이 생겼을 때 나타나는 반응이 전혀 다르다. 채비가 정렬된 상태에서는 뒷줄에 전해지는 저항감이 느껴진다. 미끼가 선행된 상태로 채비가 정상적으로 흘러갈 때 뒷줄을 잡으면 밑채비와 미끼의 저항감이 분명하게 느껴지지만, 밑걸림이 생겼을 때는 저항감이 적거나 헐거운 느낌이 든다. 원줄이 늘어져 밑채비의 저항감이 전달되지 않기 때문이다. 전유동낚시에서는 밑채비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미끼가 선행되도록 채비를 흘려야 밑걸림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미끼가 자연스럽게 흘러가기 때문에 빠른 입질을 유도하는데도 훨씬 유리하다. 전유동낚시에서 적절한 뒷줄 견제가 가장 중요하다고 말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
자료출처: 디낚
'낚시강좌 > 낚시 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잠길찌 낚시 (0) | 2006.11.15 |
---|---|
전유동 낚시 입질 파악법 (0) | 2006.11.04 |
실전 뒷줄견제II (0) | 2006.09.12 |
반유동 잠길낚시의 활용 (0) | 2006.09.10 |
실전 뒷줄 견제I (0) | 2006.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