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유동 채비 설명
원줄과 목줄의 연결은 직결법이 아니고, 소형 도래를 사용 하셔도 무방합니다
그림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감성돔 전 유동 낚시에서 낚시대는 주로 0.6호에서 1호까지가 사용되고 있지만 현장에서는 감성돔 1호대를 가장 많이 선호합니다.
원줄은 그림에서 1.7호~2.5호로 표시되어 있지만, 최근에는 물에 뜨는 프로팅 타입의 원줄 2호~2.5호가 주로 사용되는 호수입니다.
그림에 어신찌가 0호부터 B로 표시되어 있는데, 전유동에서 어신찌는 0호부터 3B까지가 주로 사용되며 상황에 따라서 대구경 전유동 구멍찌, 기울찌, 전층찌등이 사용됩니다.
봉돌의 부착은 목줄에 사용하지 않고 부력 조정용 봉돌은 도래위에 부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조류의 세기등을 고려하여 목줄에 부착하기도 합니다.
봉돌은 주로 G2, G1, B를 사용하는데, 간혹 2B도 사용합니다.
봉돌이 너무 무거우면 채비가 너무 빨리 가라 앉아 전 수심층을 탐색하기가 어려워집니다.
전유동에는 수중찌를 사용하지 않고 주로 봉돌을 사용하여야 합니다.
봉돌은 어신찌 부력에 맞게 직결위나 도래 바로위에 물리셔야 잔존부력 없는어신찌를 만들어 바닷물에 자물거리는 예민한 채비로 만들 수 있으며 현장에서 밑 걸림을 알 수 있습니다.
현장에서 갯바위 가장자리를 노리거나, 바람이 불고 조류가 약한 상황에서는
가끔 수중찌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정확한 조작을 위하여 봉돌을 위주로 사용하며 미끼 선행을 돕기 위하여 부수적으로 목줄찌, J큐숀, 스텔스등을 도래주변이나 목줄에 부착하기도 합니다.
어신찌 밑에는 어신찌의 보호를 위하여 T형 쿠션 고무를 넣고 그 아래에는
어신찌가 목줄로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극소형 구슬을 넣습니다.
원줄과 목줄은 8자 매듭법을 이용하여 직결하시면 강도가 극대화 되며 목줄의 길이는 일반적으로 3.5~4.5m 정도를 주로 사용합니다.
목줄 부분에는 기본적으로는 자연스러운 채비운용을 위하여 봉돌을 채우지 않는 것이 좋고 상황 변화에 따라 최소치의 봉돌을 물려주어야 합니다.
속 조류 흐름에 따라서 목줄에 다는 봉돌의 위치를 정해야 하고, 조류가 너무 약하면 봉돌을 달지 않아야 합니다
2. 전유동 채비 운용.
전유동 채비 운용의 가장 중요한 문제는 어신찌와 봉돌의 선택, 뒷줄 견제입니다.
그리고 전유동에서 중요한 것은 뒷줄견제입니다.
전유동채비와 봉돌의 선택은 뒷줄견제의 능력과 조류의 세기, 주어진 상황에 맞게 꾸려야 합니다.
그러나 전유동을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마세요.
그냥 3B 이하의 저부력찌를 사용한 반유동 채비에서 찌매듭만 위로 한참 올려주면 전유동채비가 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입질파악은 손끝이나 초릿대의 감각으로 하시면 더욱 확실 합니다.
'낚시강좌 > 초보 교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유동과 전유동 낚시 7문답 (0) | 2006.09.22 |
---|---|
올바른 물때표(조석표)보기 (0) | 2006.09.21 |
포인트에서 물때 알기 (0) | 2006.09.21 |
입문 반유동 낚시 (0) | 2006.09.17 |
초보낚시 장비구입 조언 (0) | 2006.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