낚시강좌/초보 교실

올바른 물때표(조석표)보기

곤장돔 2006. 9. 21. 00:59

1. 물때표(조석표) 보기

  1) 물때는 조과의 변수

물때는 조과를 결정하는 가장 큰 변수중의 하나이다. 

물때는 그에 따른 조류의 세기, 조류의 방향등에 따라서 포인트의 낚시 방법이 수시로 달라질  수가 있다.

우리는 조과를 높히고, 낚시를 좀 더 즐기기 위해서는  물때를 잘 알고 활용해야 하겠다.  

 

 2) 물때표(조석표) 보기 요령

물때표는 각 지역별로 작성이 되어 있는데, 월령이라고 달의 모양이 표시되어 있고, 만조(고조) 시간과 조위(물높이) 2번, 간조(저조)시간과 조위(물높이) 2번으로 작성되어 있다.

물때는 전국이 통일되어 있으나, 조위에 관계되는 만조및 간조시간은 지역별로 차이가 나고 있다.

남해동부권(영남권)은 통영물때시간을 주로 보고 있으며, 남해 서부권(호남권)은 여수물때시간을 주로 활용하고 있다.

물때시간은 표준지역물때를 보고 지역별로 차이나는 시간만큼 더하거나(+), 빼면(-) 될 것이다. 

우리나라 동해안 연평균의 간만차는 0.2m, 부산은 1.2m, 인천은 8.1m정도가 나고 있다.    

 

■ 조석표 보는법



 

 

* 조석표 설명
위 그림의 2일을 예로들면

15시 00분에 저조▼(간조)가 80cm이고 물이 다 빠졌을때의 시각과 조위를 표시합니다.
21시 25분에 고조▲(만조)는 328cm이고 물이 다 들어왔을때의 시각과 조위를 표시합니다.
저조에서 만조 간격은 대략 6시간 12분 정도입니다. 조위의 기준면은 그 항만의 약최저저조면으로
국립해양조사원에서 간행하는 해도의 기본수준면과 일치합니다.

 

실제로 낚시를 하는 장소에서의 간조, 만조시간의 물때표가 맞지않을 경우가 간혹 생길 수 있으니 주의를 바란다.

주변의 물때표는 평상시의 조석을 근거로 작성되었기 때문이다.   

 

 

2. 물때현상과 과학적 해설

 

* 백중 사리
  백중사리란 사리와 달의 근지점이 일치할 때를 의미한다. 사리와 근지점의 주기가 서로 다르기때문에 일년 중 음력 7월 15일을 사이에 두고 나타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백중사리때에는
평소의 사리보다 높은 조위를 보이게 된다. 여기서 사리란 달과 태양과 지구의 위치가 일직선상에 있을 때를 의미한다. 즉 보름달 혹은 그믐 전후 3~4일정도를 의미한다.근지점은 달과 지구가 가장 가까은 거리에 있을 때를 의미한다.

사리때 달, 태양, 지구의 모습
 
삭(朔, 그믐)일 경우 망(望, 보름)일 경우
 
조금때 달, 태양, 지구의 모습
 
상현(上弦, 반달)일 경우 하현(下弦, 반달)일 경우

3. 초보조사의 물때 응용

초보조사님들은 포인트마다 들물 포인트가 있고, 날물 포인트가 있는데, 물때시간을 알고 있으면 낚시가는 날과 낚시를 하는 시간이 정해진다.

자연을 알고 자연을 극복할수있는 지혜가 전문꾼으로 가는 지름길이다.

시간에 쫓겨 토요일, 일요일에 가는 조사님도 그날의 물때의 간만 차를 활용하면 좋은 조과를 기대할수 있다.

물때를 알고 그것을 응용하는 것도 낚시인의 기술임을 의심치 않는다.

 

 

순수한 글을 사랑하는 낙조의 필드테스터 곤장돔 

'낚시강좌 > 초보 교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문 벵에돔 채비법  (0) 2006.09.28
반유동과 전유동 낚시 7문답  (0) 2006.09.22
포인트에서 물때 알기  (0) 2006.09.21
입문 전유동 낚시  (0) 2006.09.17
입문 반유동 낚시  (0) 2006.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