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용어의 규정
1) 원줄: 릴에 감겨 있는 줄로 원줄의 비중에 따라 플로팅(floating)타입, 세미 플로팅 (semi-floating)타입, 서스펜드(suspend)타입, 싱킹(sinking)타입 등이 있는데 상황에 맞게 사용하여야 한다.
2) 비중(比重): 어떤 물질의 질량과 그것과 같은 체적의 표준물질의 질량과 비를 말한다.
3) 바닷물의 비중: 바닷물의 비중은 지역과 계절 및 민물의 유입정도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통상적으로 바닷물의 비중은 1.000~1.031이다.
4) 원줄의 종류
(1) 플로팅(floating) : 물에 뜨는 원줄로 초보조사들이 자주 사용하며 벵에돔낚시및 저부력낚시에 주로 사용 된다.
(2) 세미-플로팅 (semi-floating) : 플로트와 서스펜드 중간타입으로 물에 줄이 조금 잠기는 원줄로 막대찌나, 전층조법에 사용된다.
(3) 서스펜드(suspend) : 세미프로팅과 싱킹의 중간 타입으로 물에 잠기는 원줄로 바람부는 날에 사용되며, 가장 많이 사용되는 원줄이다.
(4)싱킹(sinking) : 물에 가라앉는 줄로 바람 불고 급조류시나, 선상낚시에 사용되며, 원투 던질낚시에 사용된다.
2. 비중에 의한 원줄의 분류
1) 해수 비중과 원줄의 상관관계
바닷물의 비중이 1.000~1.031이라고 했을 때, 해수 비중보다 원줄의 비중이 높으면 가라앉고, 낮으면 뜨게 되어 있다.
2) 플로트(FLOAT) 원줄의 기준
해수의 비중인 1.03 이하로 비중이 만들어진 원줄은 플로트 타입이라고 할 수 있다.
3. 출시된 원줄에 대한 비중 연구
1) 플로팅(floating) 타입의 개념
수년전까지만 하더라도 플로팅(floating)타입의 원줄은 비중이 1.09정도였다.
낚시 도중 플로팅원줄도 상황에 따라 가라 앉는 것을 종종 목격하고 경험 했다.
최근 출시되는 플로팅 타입의 원줄은 미세한 공기구멍을 고안하여 비중이 1.01~1.03으로 조정되어 생산되고 있어 플로팅 타입의 기능을 발휘하고 있다.
2) 세미 플로팅(semi-floating) 타입의 개념
세미플로팅(semi-floating)이란, “반 정도 물에 떠다니다”라는 개념으로 이해하시고 종전의 플로팅 타입의 원줄로 비중은 1.04이상 1.12이내의 원줄들을 의미 합니다.
현재 세미플로팅이라는 용어로 출시되는 제품은 없으나, 현재의 플로팅제품들은 엄밀하게 말하면 세미 플로팅 타입에 해당되는 제품입니다.
비중이 1.000이하로 생산되는 제품은 합사라고 불리던, PE라인밖에 없기 때문이다.
특수한 상황에 사용하는 PE라인을 제외하고는 보통 PE라인의 비중은 0.97로 출시된다.
3) 서스팬드(suspend)과 싱킹((sinking) 타입의 개념
보통의 나일론 줄의 비중은 1.14정도 이며, 후로로 카본 줄의 비중은 1.78이나 된다.
서스펜드줄은 세미 플로팅과 싱킹 타입의 중간타입의 줄로 조사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줄이다.
싱킹은 모노 필라멘트 타입(Monofilament type)의 원줄들이 대표적이다.
결론
1) 원줄의 비중은 PE라인<플로팅< 세미프로팅< 서스펜드< 싱킹순으로 나타났다.
해수 비중1.000~1.031보다 비중이 낮으면 물에 뜨고, 비중이 높으면 가라 앉는다.
2) 현재 출시되는 원줄중에 정확하게 플로팅줄이라고 말할 수 있는 줄은 1.000이하로 출시된 비중 0.97인 PE라인(합사)줄밖에 없다.
4) 플로팅 줄이라고 불릴 수 있는 원줄은 비중이 1.02이하는 되어야 한다.
5) 최근 본류 대라는 이름으로 출시되는 제품은 조류와 동조 하려고 하면 원줄 비중이 적어도 1.10이상으로 출시되어야 한다.
6) 회원님은 앞으로 원줄을 구입 시에 원줄호수와 비중과 인장강도를 고려하시고 구입해야 합니다.
* 연구의 제한점: 최근에 출시된 신제품들을 분석하지 못하여 곤장돔식 원줄 연구가 되어오류가 생길 수 있으니 양해바랍니다.
순수한 글을 사랑하는 '낚시하는 사람들 ' 운영자 곤장돔
'낚시강좌 > 낚시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화하는 감성돔 생태 연구 (0) | 2007.09.26 |
---|---|
수온이 낚시에 미치는 영향 (0) | 2007.01.21 |
밑밥 연구IV(밑밥과 미끼의동조) (0) | 2006.09.22 |
밑밥 연구III( 밑밥 올바른 배합법및 원투력 향상 방법) (0) | 2006.09.15 |
밑밥 연구II(밑밥 제조의 기본 원칙) (0) | 2006.09.15 |